코메이크 3.0은 2023년 5월 1일에 출시된 법무법인 디라이트에서 지원하는 전자계약 플랫폼입니다. 코메이크 1.0과 2.0을 거치면서 겪은 시행착오, 고객들의 피드백을 반영하고자 하는 고민들, 또한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기술적인 노력들로 탄생했습니다.
주요 특징 및 달라진 점
1. 계약 문서의 포맷 및 서명방식 변경
항목
COMAKE2.0
COMAKE3.0
계약문서 생성방식
2.0에서는 웹 에디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도록 했습니다.
3.0에서는 가지고 있는 계약 문서를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바꾸어, 기존에 이용하던 문서를 별도의 작업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계약 문서 포맷
HTML
PDF
서명란의 위치
2.0에서는 계약서 하단의 고정된 위치에서 서명했습니다.
3.0에서는 서명란의 위치와 개수를 자유롭게 지정 가능하며 서명뿐 아니라 텍스트, 체크박스와 같은 입력란도 문서의 적절한 곳에 설정 가능하록 했습니다.
2. 계약 체결 절차 변경
항목
COMAKE2.0
COMAKE3.0
나의 서명 추가
2.0에서는 나의 서명을 포함시킨 후 서명요청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나’에게도 서명요청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3.0에서는 나의 서명을 설정 단계에서 미리 추가한 후 상대 계약 당사자에게 서명 요청 가능하게 했습니다.
비회원에게 서명요청
2.0에서는 블록체인 계정의 문제등으로 비회원에게 서명요청하는 것을 막는 정책을 사용했습니다.
3.0에서는 각 계약별로 요청을 받은 각 사람에게만 노출되는 고유의 서명 링크를 이용하여 비회원에게 서명 요청이 가능해졌습니다.
계약서 가져오기
-
코메이크 3.0은 비회원도 안전 고유링크를 이용하여 계약 체결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회원은 비회원일 때 체결한 계약, 또는 코메이크 가입 계정이 아닌 다른 이메일을 통해 체결한 계약을 ‘계약서 가져오기’ 기능을 통해서 계정의 관리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3. 조직의 개념 도입
이전에는 제공하지 않았던 조직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쉽게 조직을 생성하고, 구성원을 초대할 수 있습니다.
내부 구성원들 사이에 결재라인을 지정하여 계약문서의 내부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결재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계약 문서의 조직 공유함 - 조직의 각 구성원은 계약을 체결한 후, 조직 공유함에 공유하여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공유 문서함에 제공되는 ‘기본 폴더’는 모든 구성원이 접근 가능합니다. 그러나 조직의 관리자는 별도의 ‘루트 폴더’를 추가하여 구성원 별로 접근 권한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가령 조직과 구성원 사이의 근로계약서는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게 한다거나 영업팀 관련 계약은 영업팀원들에게만 접근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조직의 법인 인감등을 별도로 업로드하여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일부 구성원들에게 접근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4. 정보 표현의 가시성 증대
항목
COMAKE2.0
COMAKE3.0
폴더 시스템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과 비슷한 방식으로 계약을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폴더를 트리형태로 제공하고, 임의로 폴더를 생성/수정/삭제하며 각 계약은 드래그앤 드롭으로 폴더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상세 타임라인 제공
-
계약의 생성과, 내부승인과정, 체결 과정을 상세타임라인으로 제공하여 계약의 진행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내 서명차례 하이라이트
-
내가 서명할 차례인 계약에는 하이라이트를 하여, 놓치지 않도록 했습니다.
현재상태 상세설명
기존에는 계약 상태를 ‘수정가능’ ‘서명중’ ‘체결됨’ 이 세가지로만 나타냈습니다.
3.0에서는 계약의 상태를 ‘홍길동, 심청이에게 서명요청’, ‘홍길동, 서명함’등으로 ‘주어’와 ‘목적어’도 함께 명시함으로, 더 직관적으로 계약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했습니다.
5. 계약의 위변조 방지처리
COMAKE2.0
COMAKE3.0
블록체인에 계약별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서명시간과 계약내용의 해시를 기록했습니다.
체결된 계약 PDF의 모든 페이지에는 코메이크 고유의 워터마크와, 계약 ID, 보안코드, QR코드가 삽입됩니다. QR코드를 통해서 체결된 계약 정보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페이지에서 계약서의 위변조 여부 또한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